분류 전체보기 (108) 썸네일형 리스트형 equal, ==, 데이터베이스로 객체를 식별하는 3가지 방법. 자바에서는 동등성과 동일성이 존재한다. 동일성을 나타내는 ==는 jvm에 정의돼 있는 개념이다. 두 객체가 같은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면 두 객체 참조는 동일하다고 보는 것이다. ==비교는 같은 클래스 형이지만 물리값이 다르면 다르다고 나오는것이다. 동등성은 equals() 메서드를 구현하는 클래스에 의해 정의되는 개념이며, 서로 다른 두 객체가 같은 값을 갖는것을 말한다. 메모리 공간상에 점유하는 위치가 각자 다르더라도 서로 다른 두 string이 같은 문자를 나타낸다면 두 string은 같다고 보는 식이다. 영속화를 더하면 영속 객체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특정한 한 행을 메모리 상에서 표현하게 된다. rdbms에 저장된 객체는 같은 행을 나타내거나, 동등하게 같은 테이블과 주키 값을 공유할 때.. 프로그램 개발 할때 가장 먼저 해야하는 비즈니스 도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처음부터 만들때 가정 먼저 해야 할 일은 비즈니스 도메인을 분석하는것이다. -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관련 있는 주요 엔티티를 식별한다. (엔티티는 사용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개념) - 모든 엔티티는 비즈니스를 개념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찾아야 하며, 이것을 비지니스 모델이라 한다. - 비지니스 모델 분석하고 개념적인 수준의 객체지향 모델을 만든다. (uml 같은) -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엔티티로 압축하여 문제 영역에서 엔티티를 객체지향 모델로 표현한것을 도메인 모델이라 한다. - 도메인 모델의 목적은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필요한 핵심적인 비지니스 정보를 파악하는것. 엔티티-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표현하는 것으로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 보 단위.- 현실 세계의 대상체로 유형, 무형의.. 하이버네이트 영속화, 왜 하이버네이트를 사용하는지, 패러다임 불일치 1.하이버네이트를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개념. 영속화 :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기본 개념중 하나 . 영속화를 통해 자신이 만들어낸 프로세스 밖에서도 존재 가능하다. 자바에서 영속화를 이야기 할때는 일반적으로 SQL을 이용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가르킨다. 하이버네이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관계형 모델과 SQL을 알아야한다. ---------------------------------------------------------------------------------------- 2. ORM의 필요성. 패러다임 불일치SQL과 자바는 패러다임 불일치를 발생 시킨다. SQL은 결과 데이터를 표로 가져오고 (Relation) 반면 자바는 상호 연관관계있는 객체망을 가지고 있다. .. java7 특징 및 예제 1. Performing a switch statement on a string - Switch문 내에서 문자열 사용 가능 public String getTypeOfDayWithSwitchStatement(String dayOfWeekArg) { String typeOfDay; switch (dayOfWeekArg) { case "Monday": typeOfDay = "Start of work week"; break; default: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Invalid day of the week: " + dayOfWeekArg); } return typeOfDay;} 특징 :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Deprecate @ExpectedExceptionBackgro.. 하이버네이트 메타데이터 어노테이션을 왜 사용해야 하는지. - 메타데이터의 필요성하이버네이트는 클래스와 테이블, 프로퍼티와 열, 연관관계와 외래키, 자바타입과 SQL 타입간의 매핑을 기술할 메타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이 정보를 객체/관계형 매핑 메타데이터라 한다. 객체지향과 SQL시스템간의 서로 다른 타입 시스템 및 관계 표현에 대한 변환을 정의하고 관장한다. 이 메타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1. XML로 다루는 방법2. 어노테이션으로 다루는 방법이 있다. - 왜 어노테이션 기반을 써야하는지각자 장단점이 있겟지만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다루는 방법을 설명한다. 어노테이션 기반은 메타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별도 파일로 분리하지 않고 그것이 기술하는 정보 옆에 두는것이다. EJB3.0과 자바 퍼시스턴스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버네이트 애노테이션을 hiber.. http 웹에 관해서(미디어 타입, 트렌젝션, 메서드 종류) 웹 콘텐츠는 웹 서버에 존재. 웹 서버는 http 로 통신하기 때문에 http 서버라고 불린다. 웹 서버는 인터넷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http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ex> 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을 /index.html으로 보내고 서버는 http 포맷으로 되어있고 길이는 3150 글자이다라고 응답을 보낸다. 웹 서버는 웹 리소스를 관리하고 제공하는데 리소스는 웹 콘텐츠의 원천이다. 리소스는 웹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든것인데 그림파일, 워드파일, 등 모든 종류의 파일을 포함한다. - 미디어 타입 -인터넷은 수천가지 데이터 타입을 다루어서 http는 웹에서 전송되는 객체에 각각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 다목적 인터넷 메일 확장) 타입.. simpleframework 사용법 1. XML2. Framework for java3. Rapid development of XML4. Offer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직렬화, 역직렬화)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란~ •확장 마크업언어•바이너리 파일 + 텍스트 파일•데이터를 기술하고 구조화하는 것과 관련•정보를 접근하는 소프트웨어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 Offer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직렬화(Serialization) ◈ 객체를 저장하는 기법 ▣ 역직렬화(Deseialization) ◈ 직렬화된 객체를 복원하는 기법 직렬화를 하는 이유는 객체의 메모리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에 유지되는 순간적인 메모리이기 때문에 이것.. 웹 로봇, 스파이더, 크롤러 robot.txt 웹 로봇은 자동으로 웹 사이트를 탐색하며 정보를 가져와서 처리한다. 로봇은 웹 사이트를 방문하고 그 안에 있는 링크를 수집하면서 데이터 베이스 엔진에 정보를 추가한다. 이 로봇은 하는 역할에 따라 웹 로봇, 스파이더, 크롤러로 불리게 된다. 로봇은 웹 사이트에서 부적절 하게 동작할수 있는데 사람보다 빠르게 http 요청을 만들 수 있고, 오류를 가지고 있거나 논리적 결함이 있는 로봇이라면 웹 서버에 극심한 부하를 줄 수 있다. 또 웹 사이트가 바뀌어서 로봇이 존재하지 않는 URL에 대한 요청을 보내면 존재하지 않는 접근 요청과 에러 페이지를 제공하는 부하로 웹 사이트 기능이 떨어 질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로봇의 동작을 더 잘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순하고 자발적인 기법이 제안되었다. 이 ..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다음